AI도 공감할 수 있을까? 인간의 마음을 읽는 기계의 진화

공감을 흉내 내는 기계의 등장

공감의 역사와 기술의 진보

기계와 인간의 공감, 그 사이

 

사진=온쉼표저널

 

 

내 마음을 정말 이해해주는 걸까, 아니면 단순히 흉내 내는 것일까?
최근 많은 사람들이 챗봇과 대화를 나누며 이런 질문을 던진다. 감정 분석, 음성 톤 인식, 심지어 표정까지 읽어내는 AI는 마치 ‘공감 능력’을 지닌 것처럼 보인다. 예컨대 우울한 상태를 감지해 위로의 말을 건네거나, 고객의 불만을 부드럽게 달래는 인공지능 상담사는 이미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우리가 경험하는 그 위로는 정말로 ‘공감’일까, 아니면 잘 훈련된 계산 결과일 뿐일까? 공감이라는 인간만의 고유한 영역에 기계가 발을 들여놓는 순간, 사회는 새로운 질문과 긴장 속에 놓이게 된다.

 

 

공감은 오랫동안 인간관계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왔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함께 느끼는 능력을 인간의 사회적 덕목 중 하나로 꼽았다. 20세기 들어 심리학자들은 공감을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으로 나누며, 인간이 서로의 내면을 이해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한편 기술은 점차 이 영역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단순한 감정 분석 프로그램이 텍스트 속 ‘슬픔’이나 ‘분노’ 같은 단어를 식별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오늘날의 AI는 음성 떨림, 시선 움직임, 얼굴 근육 변화까지 읽어내며 더 복합적인 정서를 해석한다. 공감이 단순한 감각이 아닌 데이터화 가능한 현상으로 여겨지면서, 기술은 ‘마음을 읽는 기계’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젖혔다.

 

 

철학자들은 여전히 AI의 공감을 진정한 의미에서 인정하지 않는다. 공감이란 단순히 감정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고통을 자신의 경험으로 느끼는 주체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조금 더 실용적이다. “비록 AI가 실제로 느끼는 것은 아니더라도, 그 반응이 인간의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된다면 충분히 ‘공감적’일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실제로 병원 상담용 AI는 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치료 지속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엔지니어들의 관점은 또 다르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공감’의 철학적 진정성보다는, AI가 얼마나 정밀하게 감정을 탐지하고 적절한 반응을 제시하는가 하는 문제다. 결국 AI의 공감은 ‘실제 감정’이 아니라 ‘시뮬레이션된 이해’라는 점에서 인간과 다르지만, 그 실용적 가치는 이미 사회 곳곳에서 입증되고 있다.

 

 

AI가 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방대한 데이터 덕분이다. 온라인 대화 말뭉치와 감정 태깅 데이터, 음성·영상 분석 알고리즘은 기계가 감정의 패턴을 학습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데이터 기반 공감에는 치명적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문화적 맥락을 간과한다. 동일한 웃음이라도 한국에서는 정중한 표현일 수 있고, 서구에서는 불편함을 감추는 신호일 수 있다. 둘째, 인간의 감정은 언제나 모호하고 예외적이다. 인간조차 서로의 마음을 완벽히 읽지 못하는데, 기계가 그것을 완벽히 해낼 수는 없다. 셋째, 공감은 단순히 ‘정확한 분석’이 아니라 ‘관계의 깊이’를 필요로 한다. 

 

친구의 위로가 기계의 위로보다 더 따뜻한 이유는, 그 속에 축적된 신뢰와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I가 아무리 진보해도, 기계가 전적으로 인간의 공감을 대체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AI의 공감을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는 사회적 지혜다.

 

 


AI는 분명히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는 듯’ 행동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본질적으로 시뮬레이션된 반응이지, 인간이 느끼는 공감의 깊이를 완벽히 구현한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AI의 공감적 기능을 과소평가할 필요는 없다. 상담, 교육, 돌봄 등에서 AI는 이미 중요한 보조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역할은 확장될 것이다. 중요한 질문은 “기계가 진정으로 공감하는가?”가 아니라, “우리는 기계의 공감 시뮬레이션을 어디까지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것인가?”이다.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기계가 함께 살아가는 길은, 기계가 아닌 인간이 그 경계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 있다.

 

 

작성 2025.10.03 16:17 수정 2025.10.03 16:17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온쉼표저널 / 등록기자: 장은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되고 다양한 도형 어항 벌륜 회전목마 새장 스테인리스 템플레이트
https://ads-partners.coupang.com/image1/3_u_xXZy26n388rF38MbPgOpt49LanRAWK4OFnM1gAElDbV_yn6dEG7Geh8y9W5SqmtGkJ4fqPVsDZqNkZHy2-BAVgyUNFUyBeqGTOMnKDkHjqkSi-WfiKLFvuT23YJAj7vlM9Jo7aeod5ucWwoPgP61BzOa00Kat83LkDmDQUTy1mMg4ymTxhscGADFrYzPt_lRoYLNk3RdvA3w3k2DWFlQhq_MbURoT0A1Y1ZFQ6NMS_0VK28g6cDv6Yj_fJUlEUDf2KFPOke5FkPZVPXvZ9Q355vt8ayBceaoK2pF4y6TkERm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되고 다양한 도형 어항 벌륜 회전목마 새장 스테인리스 템플레이트
https://ads-partners.coupang.com/image1/pjNDNw33CoFVkji6pkFwTx-Q9XkufGFtEa_bhNuUF9ks9FMxDMm3y4GPZ12Gb0QdhuHc1Wqh0E5x1haSuuVrYl-jB9EczMlBuc_GmxuN6njOdaI4DNK3Dc5vCz_cLwX91LF2hWYS_PbLU1BVGHBbN73eB3ciBsEwRoIA-SSYlQKExj2Gs2O31lGIx4TXJ1Fgo29iDHbhuMtnGlHh3DLkvsVUZyNaUzTRol1qzBGESCFlOpdpuF7D8EPP4IvyHYlNoIgt0CQxaAUWPnKDykJfhIPBWtOCQfVdxABMAsEkJ_IOCXq-uA==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되고 다양한 도형 어항 벌륜 회전목마 새장 스테인리스 템플레이트
https://ads-partners.coupang.com/image1/EU3S7E2yKSjlR8oYEYNYW8j2r-bKD0ub2yK__H2V1m1fUy0_WDh7oQehEg6r7CEVnu7ePu9KCGkI274UhyqufqaMbWXl78W-HP5JWtL9MldbpV1dYXZu1YlAy3ds8qz1PwHr-5Eh3qK-R7tsG8P8eXrwIOJ8jNn-b2r5QNWKQtLv0U0P5PFThdbmPx_d54uSstX6KE8qYiiGfH9vyHhvIKaydJX0QK0uno50PI6OvKFsy_PECyMG-hShogt55Tc143yr93ZuIo0F_SbUCN6RQHJMKMRCjYuTk6mUgmIbNF7V_mqDqw==
자세히보기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 4,200원
마루오피스_ 책갈피 겸용 도형자 세련되고 다양한 도형 어항 벌륜 회전목마 새장 스테인리스 템플레이트
https://ads-partners.coupang.com/image1/uafyg4dRlQhK84EpucnnYZ5hSEiPJ-BDFVZqaXUmAcrfjmw4PU4CZC5cmuXpiBgVuJdRxyq-TLEJQJGsrEmDUWblCiN0xXpqNsn8JJsr-xzkCv4QEd9XsxRBWCtWoSPDFqELs8JB-1wHGKRlTjf8tGbUmiFlFWUUNyvGn_avxNsT4r6Of9daw2dCay__-eR2HMPeu_GJjFRuU1sI6JWqypy7UWGHKbpr610VTj03Za2_BbXGpQyoePxrpO-eK2hZmE_R9RSUNdnQnIWVInD3u9X9H7QCI-PipT_1cgOTa9D06TqK
자세히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