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22일부터 시행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금융당국이 스미싱 위험 증가에 따라 소비자경보를 한 단계 높였다. 지난 7월 발령된 ‘주의’ 수준에서 이번에는 ‘경고’ 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휴대폰 문자나 카카오톡 메시지에 악성 URL을 삽입해 사용자가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범죄 수법이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융 피해를 일으킨다.
1차 지급 기간, 430건 스미싱 확인
당국에 따르면 지난 1차 소비쿠폰 지급 기간(7월 21일~9월 12일) 동안 이미 430건의 스미싱 문자와 정부24 사칭 악성앱 유포 사례가 적발됐다. 다행히 현재까지 직접적인 금융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2차 지급 기간에도 이와 유사한 공격 시도가 반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식 안내에는 URL 없다”
금융위원회와 관계 기관은 소비자에게 “정부나 금융회사가 발송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문자는 URL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쿠폰 신청이나 지급 명목으로 발송된 문자에 인터넷 주소가 포함돼 있다면 절대로 클릭해서는 안 된다.
소비자 유의사항
당국은 소비자에게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당부했다.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URL)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신분증·계좌번호 등 민감 정보 요구 시 즉시 중단할 것
휴대폰 보안 기능(스미싱 자동 차단)을 설정할 것
의심 문자 발신 번호는 즉시 신고할 것
피해 발생 시 즉시 지급 정지 및 신고 요청할 것
안심차단 서비스,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등을 적극 활용할 것
경고 격상 배경
금융당국은 지난 7월 18일, 1차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이미 ‘주의’ 단계의 소비자경보를 발령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에도 다수의 스미싱 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이번 2차 지급 기간(9월 22일~10월 31일)을 앞두고 경보 수준을 ‘경고’로 격상했다.
관계자는 “공식 안내에는 URL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고, 의심되는 문자나 알림을 받으면 즉시 삭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약 및 기대효과
이번 조치는 소비쿠폰을 빙자한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고, 국민의 금융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가 안내 사항을 숙지하고 경계심을 높이면 스미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스미싱 공격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융소비자의 철저한 주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공식 안내에는 URL이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