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용의 인사노무이야기] 주 5일제와 주 4.5일제, 어느 쪽이 현실적인가?

주 5일제와 주 4.5일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근로시간 단축 효과, 임금 문제, 산업별 적용 가능성 등 현실적인 과제를 중심으로 두 제도의 장단점을 짚어본다.


 

주 5일제는 지난 2004년 도입 이후 한국 사회에 자리 잡았다. 근로시간은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법적·제도적 안정성이 보장된다. 기업과 근로자 모두 이미 제도 운영에 익숙해 혼란이 적고, 임금 체계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사진 출처: 챗gpt 이미지]

전문가들은 주 5일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를 “산업 전반에 고르게 적용된 제도적 수용성”으로 평가한다. 다만, 장시간 노동이 여전히 문제로 지적되면서 새로운 근무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주 4.5일제는 금요일 오후 근무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 4일제와 주 5일제 사이의 절충안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폭이 크지 않아 체감되는 만족도가 제한적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도 확실하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특히 소상공인이나 교대근무가 필요한 업종에서는 인력 운영에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노동계는 임금 삭감 우려를, 경영계는 인건비 상승을 주요 문제로 지적하며 제도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 5일제와 주 4.5일제의 비교에서 단일한 정답을 제시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새로운 제도 도입에 비교적 유연하지만, 중소기업과 서비스업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힘들다. 따라서 산업별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공통 목표는 유효하지만, 제도적 안정성과 사회적 합의를 병행하지 않으면 제도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이 공통된 의견이다.


 

주 5일제는 안정성과 제도적 정착 측면에서 여전히 현실적이다. 주 4.5일제는 새로운 시도로 의미가 있으나 근본적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향후 근로제도 논의는 산업별 차이를 반영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작성 2025.09.09 22:42 수정 2025.09.09 22:43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준용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