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발표한 ‘2025년 소비자 뱅킹 앱 시장 및 광고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 뱅킹 앱 다운로드가 꾸준히 증가하며 금융 서비스의 핵심 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지난 1년간 소비자 뱅킹 앱 다운로드 수는 20억 건을 넘어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특히 2022년 초부터 이어진 상승세가 지속되며 현재는 분기마다 5억 건 이상이 다운로드되고 있어, 모바일 금융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금융 서비스 접근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한다. 모바일 앱이 은행 업무의 표준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앱 중심 경험을 선호하는 사용자층이 빠르게 확대됐다.
계좌 개설, 송금, 청구서 납부 등 기본적인 은행 업무가 앱을 통해 간편하게 이뤄지면서,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특히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신흥 시장에서 뱅킹 앱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브라질의 누뱅크(Nubank), 인도의 코탁뱅크 811(Kotak Bank: 811) 등은 지점 방문이 어려운 지역에서 모바일 중심 뱅킹의 대안으로 자리 잡으며 금융 포용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인도, 멕시코, 콜롬비아 등에서는 은행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필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25년 상반기 시장별 다운로드 순위를 보면 기존 금융기관의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디지털 퍼스트 금융사의 빠른 추격이 관찰된다.
한국의 경우 토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가 모두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디지털 중심 금융 플랫폼의 성장세를 입증했다.
사용자 분석에서는 국가별, 연령별 특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인도는 남성 사용자가 82%로 크게 높은 반면, 일본과 미국은 성별 비중이 비교적 균형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젊은 성인(25~34세)이 앱 사용을 주도하고 있지만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18~24세 사용자의 참여가 두드러진다. 이는 은행과 핀테크 기업이 각 시장에 맞는 사용자 경험과 전략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광고 지출 전략 역시 시장별로 차이를 보였다. 미국 은행들은 OTT와 유튜브 등 동영상 기반 채널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본은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한국은 페이스북에 무려 83%를 배정하며 글로벌 평균 25%를 크게 웃도는 독특한 전략을 취했다. 인도 역시 페이스북 중심의 접근법을 유지하며 모바일 소셜 플랫폼을 핵심 채널로 활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센서타워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모바일 뱅킹의 발전이 접근성과 참여, 혁신의 균형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별 이용 행태와 광고 전략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의 금융 서비스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센서타워는 모바일 앱, 디지털 광고, 리테일 미디어, 사용자 인사이트 분야에서 글로벌 브랜드와 퍼블리셔들이 신뢰하는 데이터 분석 기업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2013년 설립 이후 모바일 앱 생태계 분석을 선도해 온 센서타워는 현재 리테일 미디어와 디지털 광고 영역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경쟁사의 전략과 소비자 행태를 면밀히 파악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2025년 소비자 뱅킹 앱 시장 및 광고 트렌드 리포트: https://sensortower.com/ko/consumer-banking-apps-market-and-advertising-2025-report-korea?utm_source=KRNW
웹사이트: https://sensortower.com/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