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파이데이아] "명목임금 VS 실질임금"

명목임금은 '겉옷', 실질임금은 ‘체온’

명목임금(Nominal Wage)은 흔히 말하는 '월급' 그 자체다. 물가 변동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숫자로서의 임금이다. 예를 들어, 작년 월급이 300만 원이었고 올해 310만 원을 받는다면, 명목임금은 10만 원 오른 셈이다.

[사진 출처: 명목임금 VS 실질임금을 비교한 이미지, gemini] 

하지만 우리의 실제 생활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실질임금(Real Wage)이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에서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310만 원을 받더라도 물가가 5% 올랐다면, 작년 300만 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들을 올해는 310만 원으로도 다 살 수 없게 된다. 결국, 명목상 임금이 올랐더라도 실질적인 가치는 오히려 하락한 것이다.

[사진 출처: 명목임금 VS 실질임금을 비교한 이미지, gemini] 

숫자 뒤에 숨은 냉정한 현실

명목임금은 올랐는데 생활이 팍팍해진다는 푸념은 바로 이 실질임금의 하락에서 비롯된다. 물가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을 앞지르는 '마이너스 실질임금 성장' 시대에 접어들면,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삶의 질은 제자리에 머물거나 오히려 퇴보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명목임금을 올렸으니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물가와 연동된 실질임금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근로자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소비는 위축된다. 이는 결국 경제 전체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의 고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임금 정책을 논할 때 명목임금 상승률뿐 아니라 물가 변동을 고려한 실질임금의 변화를 함께 살펴봐야 한다. 단순히 통장 금액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그 돈으로 더 많은 것을 구매할 수 있는 '진짜' 임금 상승을 이끌어내는 것이 지금 우리 경제에 필요한 과제다.

 

 

 

 

 

 

 

박형근 정기자 기자 koiics@naver.com
작성 2025.09.03 17:47 수정 2025.09.03 17:52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형근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