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임팩트, 9월 17~19일 '2025 체인지메이커 컨퍼런스' 개최
비영리 사단법인 루트임팩트(대표 허재형)는 오는 9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 시작점'에서 ‘2025 체인지메이커 컨퍼런스’를 연다고 밝혔다. 올해 컨퍼런스의 주제는 **‘시대공명: 길어지는 삶, 달라진 질문들’**로, 초고령화 사회 속에서 새로운 생애 주기와 돌봄의 형태에 대한 실천적 해답을 찾기 위한 담론의 장이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강연을 넘어, 컨퍼런스 세션 외에도 토크·네트워킹, 인터뷰 전시 등 다양한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관람객의 몰입과 참여를 유도한다.
"100세를 살아내는 기술"부터 "돌봄의 성별 고정관념 타파"까지
첫날인 17일에는 ‘100년을 살아내는 전환의 기술’ 세션이 진행된다. 전통적인 3단계 생애 모델(교육-일-은퇴)을 넘어, 학습과 일, 건강, 관계, 사회적 기여가 생애 전반에 녹아드는 다단계 인생설계를 논의한다. 이혜영 트루에이징 대표와 김희경 전 여성가족부 차관이 참여해 ‘중년 이후 삶의 재정의’를 주제로 토론한다.
18일에는 ‘길어진 삶, 넓어진 돌봄’ 세션이 이어진다. '남성 돌봄에서 시작하는 포용 실험'이라는 부제로, 돌봄의 성별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이를 부담이 아닌 개인의 역량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 세션에는 이지은 연세대학교 부교수, 이아정 유엔여성기구 팀장, 김기탁 아빠육아문화연구소장이 패널로 참여한다.
토크&네트워킹에서 ‘죽음’과 ‘K장녀’가 담론이 되다
저녁 6시부터는 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한 토크&네트워킹 프로그램이 열린다.
17일: 디-톡스 기획 ‘죽음에서 찾은 연결의 지혜’
18일: 나이듦연구소의 ‘K장녀 돌봄을 말하다’
19일: ‘고령화 시대 새로운 가족 그리고 집’
죽음·돌봄·주거라는 100세 시대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참가자들은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며 사회적 대안을 함께 모색한다.
‘온기우체국’ 팝업, 돌봄의 기록 전시도 함께
행사장에는 돌봄의 시간을 인터뷰로 기록한 전시가 마련되며, 관람객이 남긴 익명의 고민에 손편지로 답변을 전하는 ‘온기우체국’ 팝업도 운영된다.
루트임팩트의 허재형 대표는 “100세 시대는 삶의 길이가 아닌 삶의 질문을 바꾸는 시대”라며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그 질문의 해답을 시민들과 함께 찾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체인지메이커, 성동구와 함께 사회적 실험을 이어가다
이번 컨퍼런스는 성동구에서 주최하는 ‘크리에이티브×성수’ 프로그램과 연계된다. 해당 축제는 9월 15일부터 21일까지 성수동 일대에서 열리며, 'CT페어', '플레이 성수', '뮤직 성수' 등 다양한 시민참여형 콘텐츠도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컨퍼런스 입장료는 1만 원이며, 토크&네트워킹과 전시 프로그램은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참가 신청은 **이벤터스(event-us.kr/2025cxs/event)**에서 접수 중이다.
요약 및 기대효과
초고령화 시대에 대응하는 생애 재설계와 포용적 돌봄의 모델 제안
‘죽음’, ‘돌봄’, ‘주거’ 등 민감하고 본질적인 주제를 공론의 장으로 확장
성동구와 연계한 축제를 통해 시민 참여형 사회 혁신 모델을 지역 기반에서 실험
4,000명 이상이 참여한 컨퍼런스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질적 담론 형성 기대
결론
루트임팩트가 제안하는 2025 체인지메이커 컨퍼런스는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선 사회적 질문과 해답의 장이다. 100세 시대라는 전례 없는 변화 앞에서, 시민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삶을 설계하고 관계를 재정의하는 전환의 기회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