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총 16조8천억 원을 배정받아 전년보다 1조6천억 원, 비율로는 10.5% 증가한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예산안은 1조9천억 원 규모의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한 재원을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
정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창업 및 벤처 4대 강국 도약” 이라는 중장기 전략을 실행에 옮길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혁신 창업 지원, ▲디지털·AI 전환 가속화, ▲소상공인 회복과 지속가능한 성장, ▲지역 기반 기업 생태계 조성,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등 다섯 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 방향을 설정했다.
가장 큰 예산이 배정된 분야는 소상공인 지원 부문으로 총 5조5천억 원이 편성됐다. 중기부는 고금리, 고물가 등 복합 경제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을 위한 회복 지원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자생력 강화를 위한 상권 활성화 사업, 정책자금 확대, 취약계층 보호 대책 등이 포함돼 있다.
창업과 벤처 생태계 강화에는 4조4천억 원이 투입된다. 예비 창업자부터 스케일업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적 지원을 강화하며,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진입장벽 해소를 위한 맞춤형 정책도 함께 추진된다.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전환 부문에는 3조7천억 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핵심 목표다. 특히, 디지털 인프라를 확보하지 못한 소기업에 대한 보급형 솔루션 지원과 스마트 공장 고도화가 주요 과제로 포함됐다.
지역 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예산은 1조3천억 원으로 책정됐다. 지역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는 이번 투자는 지역특화산업 육성과 창업 인프라 확대, 지방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 지원 등이 중심을 이룬다. 수도권 중심의 산업 집중 현상을 해소하고, 전국 단위의 성장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적 배분이다.
대·중소기업 간 협업을 촉진하고, 상생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부문에도 5천7백억 원이 배정됐다. 중기부는 이번 투자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협업, 동반성장 모델 발굴, 민관 협력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예산안은 기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유사·중복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확보한 1.9조 원 규모의 재원은 성과 중심, 미래지향적 사업에 재투자되며, 예산의 전략적 운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예산은 양적 확대를 넘어서 질적 성장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설계됐다”며, “단기적 지원을 넘어, 창업 생태계 고도화, 소상공인 자생력 회복, 디지털 전환의 실질적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을 바탕으로 중기부가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창업 및 벤처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2026년 중기부 예산안은 단순한 금액 증액이 아닌, 전략적 구조조정과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기반한 전환적 예산으로 평가된다. 창업에서 스케일업까지 전 단계 지원이 강화되며,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이 중소기업의 핵심 성장 도구로 자리잡게 될 전망이다. 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동반성장 체계 구축을 통해 전국적인 산업 균형 발전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