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소비문화 확산으로 대형마트·영화관 등 오프라인 상업공간이 비어가는 가운데, 서울시가 이들 부지를 새로운 도시 활력 거점으로 재편하기 위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내년에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점차 활용도가 낮아지고 있는 대규모 상업시설 부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수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팬데믹 이후 소비 패턴 변화와 산업 구조 개편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내년에는 「대규모 판매시설 부지 미래 활용방안」이 마련된다.
시는 AI,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의 확산과 온라인 서비스의 성장으로 도시경제 전반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단순한 재개발을 넘어 효율적 공간 재배치와 혁신적 활용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는 판단이다. 특히 입지적 가치는 높으나 기존 용도를 다한 상업부지를 선별해, 경제·문화적 관점에서 새로운 활용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선진적 도시관리 모델’ 구축의 출발점으로 삼고, 민간 사업자와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간 개발계획이 수익성 중심으로 추진됐다면 앞으로는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반영해 도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간 재편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전략이다.
시는 또한 고령화와 저출산 등 도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공간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민간 개발의 방향성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대규모 상업시설 부지 활용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비어가는 공간을 도시 활력 거점으로 탈바꿈시켜 서울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