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사용되지 않거나 저활용되는 공공부지를 대상으로 ‘부동산 조각투자(STO)’ 시범사업에 나선다. 시민이 직접 투자에 참여해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공공자산의 가치를 높이고 지역사회 참여를 확대하는 새로운 모델이다.
서울시는 현재 비어 있거나 활용도가 낮은 폐 파출소 부지 1~2곳을 선정해 ‘부동산 조각투자(토큰증권, STO)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조각투자란 특정 부동산을 증권화해 다수의 투자자가 소액으로 분산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검토 대상지는 동작구 상도5치안센터와 은평구 신사1치안센터 등으로, 치안센터 이전 후 유휴 상태에 있거나 임시로 활용 중인 공간이다. 시는 이들 부지를 도심형 미니창고 등 소규모 활용 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시는 연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한 뒤 사전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토큰증권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폐 치안센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저이용 공공자산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이 도입되면 공공자산 활용을 통한 임차료 배당 및 매각 차익이 시민에게 돌아가고, 서울시는 세입 증대와 자산 가치 제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동시에 지역사회는 노후 시설 개선과 맞춤형 공간 공급으로 환경 개선과 생활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8월 28일 부동산 수익증권 유통 플랫폼 ‘소유’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 루센트블록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루센트블록은 신도림 핀포인트타워, 성수 코오롱타워, 대전 하나스타트업 파크 등 다수의 부동산 유동화 사례를 보유한 기업이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부동산 조각투자를 통해 공공자산을 디지털로 전환하고 개발이익을 시민과 공유하는 참여형 개발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