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파이데이아] 자산 리밸런싱(Asset Rebalancing)이란?

투자시장에서 흔히 언급되는 ‘자산 리밸런싱(Asset Rebalancing)’은 말 그대로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을 다시 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주식 60%, 채권 40%처럼 목표 비율을 정해 투자하지만, 시장의 등락에 따라 비중은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질 수 있다. 주가가 급등하면 주식 비중이 지나치게 커지고, 반대로 채권 비중은 줄어드는 식이다.

 

이때 투자자는 자산 비중이 목표치에서 벗어나면 일부를 매도하고 다른 자산을 매수해 다시 원래 비율로 맞춘다. 이를 ‘리밸런싱’이라 부른다.


[사진 출처: 챗gpt 이미지]

리밸런싱의 핵심 목적은 위험 관리다. 자산군의 가격 변동으로 포트폴리오가 한쪽에 치우치면 수익률은 커질 수 있으나 위험 역시 커진다. 이를 방치할 경우 장기 재무 목표가 흔들릴 수 있다.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리밸런싱이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리밸런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일정 기간마다 자산 비중을 점검하는 ‘주기적 리밸런싱’과, 목표 비중에서 일정 수준 이상 벗어날 때만 조정하는 ‘비율 기준 리밸런싱’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목표가 주식 60%, 채권 40%일 때, 주가 상승으로 주식이 70%까지 늘어난다면 일부 주식을 팔고 채권을 매수해 다시 60 대 40 비율을 맞추는 식이다. 이는 고점에서 차익을 실현하고 저점에서 매수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리밸런싱에도 단점은 존재한다. 잦은 매매로 인해 세금이나 수수료 등 거래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과도한 리밸런싱은 오히려 장기 수익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 전문가들은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리밸런싱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박형근 정기자 기자 koiics@naver.com
작성 2025.08.24 23:40 수정 2025.08.24 23:40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형근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