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새 정부 국정과제인 ‘필수의료 확충’을 뒷받침하기 위해 ‘경기도 응급의료지원 자문단’을 꾸리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도는 이 자문단을 응급의료 정책 발굴과 지원을 위한 정책 싱크탱크로 삼아 현장 중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21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도 응급의료지원 자문단 1차 회의’에서는 도내 응급의료 현안이 집중 논의됐다. 자문단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소속 의료진과 학계 전문가, 응급의료 분야 실무진 등으로 구성됐으며, 현장의 경험을 토대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 제안을 내놓았다.
첫 회의에서는 ▲중증 응급환자 이송 지침 개선 ▲응급의료 권역 재편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 방향 등 주요 과제가 다뤄졌다. 자문위원들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해 논의의 실효성을 높였다.
경기도와 경기도응급의료지원단은 이날 논의된 의견을 반영해 중증 응급환자가 지체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이송 체계를 정비하고, 권역별 의료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응급의료 네트워크 재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정책 설계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현장 중심으로 추진해 실효성 있는 응급의료 체계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자문단은 앞으로 정례적으로 운영되며 단기적 현안뿐 아니라 중장기 전략 마련과 제도 개선 등 구조적 과제에도 지속적으로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는 도민의 생명권 보장과 응급의료서비스 수준 제고를 위한 기반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13일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는 필수의료 확충과 공공의료 강화를 핵심 과제로 포함시킨 바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응급의료 전문가들이 상시 참여하는 자문체계가 갖춰진 것은 경기도 응급의료정책의 큰 전환점”이라며 “국정과제에 발맞춰 지방정부의 책임과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