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도전적인 연구개발(R&D)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혁신도전형 APRO R&D’ 사업군에 7개 과제를 추가로 지정했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 기술 개발과 신산업 생태계 조성, 인공지능(AI) 핵심 기술 확보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1일, 밀착관리형 4개와 공개경쟁형 3개 등 총 7개의 신규 사업을 ‘APRO R&D’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해 ‘APRO R&D’ 사업군은 총 39개로 확대되었다.
‘APRO R&D’는 세계 최고 또는 최초 수준의 혁신성과를 목표로, 높은 실패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성공 시 파급력이 큰 R&D를 선별해 지원하는 제도다. 명칭인 APRO는 ▲Aim-high(도전성) ▲Problem-solving(기대효과) ▲Revolutionary(혁신성) ▲Over&over(파급효과)를 의미한다.
이번 추가 지정은 각 부처가 제안한 유망 연구과제를 대상으로 추진체계, 기술 혁신성, 사회적 파급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난 6월 25일 ‘제3차 혁신도전추진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7개 사업 중 4개는 총괄관리자에게 과제 전반을 위임해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밀착관리형’이다. 나머지 3개는 여러 연구팀이 동일한 목표를 두고 경쟁하는 ‘공개경쟁형’으로 운영된다.
밀착관리형 과제로는 ▲초고에너지 밀도 알루미늄 공기전지 기술 개발 ▲지역 중심 AX 기술 육성 ▲우주 소형 무인제조 플랫폼 실증 ▲아진공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등이 포함됐다.
공개경쟁형 과제로는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 ▲역노화 재생의료 중개임상 연구 ▲AI 챔피언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이들 사업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 도약과 산업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며, 도전적인 접근이 특징이다.
‘APRO R&D’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는 보다 유연한 제도 환경 속에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우선 연구에 필요한 장비나 시설 도입 시, 기존의 평균 120일 소요되던 절차를 수의계약 방식으로 대체해 약 50일 이내로 단축된다.
또한 과제 종료 시 성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 평가’가 이뤄져, 실험 실패에도 불이익 없이 종료가 가능하다. 뛰어난 성과를 낸 연구팀에게는 공모 없이 후속 연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속성도 확보된다.
특히 도전적인 시도로 발생한 ‘정당한 실패’에 대해서는 제재를 면제하는 등, 연구자가 안심하고 고위험·고난도 과제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정부는 총괄관리자 중심의 전권 운영체계를 통해 R&D 사업의 책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관련 법령 개정과 관리역량 진단모델 개발,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지원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의 기술 주권 확보와 미래 경쟁력을 위해 도전적인 R&D에 대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적 뒷받침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