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로 본 대사질환 치료와 뇌 연구… 국제 학술무대서 집중 논의

‘위고비’로 뜨거운 비만 치료… 브레이크스루상 수상자와 뇌와 호르몬의 비밀 푼다

한국뇌신경과학회–대한비만학회, 송도서 최신 치료전략과 연구성과 공유

한국뇌신경과학회와 대한비만학회는 오는 8월 26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비만 및 당뇨병에서의 대사 조절: 호르몬과 신경의 상호작용’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연다.


Julie Broe Honoré 박사(노보 노 디스크 코리아), 2025 한국뇌신경과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에서 GLP-1 RA의 중추 효과 발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비만 치료제 ‘위고비’는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혈당 조절, 식욕 억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까지 입증되며 비만·당뇨병 치료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이 같은 성과로 위고비 개발 연구진은 2025년 브레이크스루상 생명과학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위고비의 핵심 성분인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가 뇌와 호르몬 시스템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대사질환 치료의 차세대 타깃을 모색하는 학술 무대가 될 전망이다.


세션에서는 세계 각국 연구자들이 GLP-1 기반 치료제의 다면적 효과와 신경계의 새로운 역할, 장내 포도당 흡수 및 후뇌 GFRAL 신경 회로 등 최신 연구를 공유한다. 발표자로는 Julie Broe Honoré(노보 노 디스크 코리아)가 GLP-1 RA의 중추 작용을 설명하고, 손종우(KAIST), 민세희(울산대), 송민호(KAIST) 교수가 대사질환에서의 인슐린 저항성 조절 기전과 치료 전략을 발표한다.


한국뇌신경과학회는 “이번 공동 심포지엄은 호르몬과 신경 경로를 잇는 연구 성과를 총망라한 자리”라며 “기초과학자와 임상의가 함께 대사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뇌신경과학회(KSBNS)는 1997년 설립된 국내 최대 규모의 뇌과학 학술단체로, 생명과학·의학·약학·심리학·공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자들이 참여해 학제 간 협력과 융합 연구를 이끌고 있다. 


매년 정기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외 석학들의 최신 연구 발표와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제 뇌연구기구(IBRO), 아시아-오세아니아 뇌과학연맹(FAONS) 등과 협력해 아시아 뇌과학 협력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ksbns.org

작성 2025.08.20 13:19 수정 2025.08.20 15:11

RSS피드 기사제공처 : 소상공인연합신문 / 등록기자: 손광식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