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T특수공작 전사자/순직자 추모 62.2km 산악종주

NSA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주최

UDT요원들의 조국을 위한 고귀한 희생과 헌신

악천우 야간산행 속에도 빛난 전우애

[제1회 UDT/SEAL 특수공작 전사자 및 순직자 추모 62.2km 산악종주 개최]

호국보훈의 달인 지난 2025년 6월. 150mm의 폭우 예보에도 아랑곳없이 전국 각지에서 20대~50대 후반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UDT 예비역 및 현역이 모였다. 이들이 모인 이유는 다름 아닌, 작전 및 훈련 중 전사, 순직한 UDT 호국영령들의 고귀한 넋을 기리기 위해서였다. 

 

대한민국 UDT는 한국전쟁 중 정찰, 교란, 기습, 폭파, CIA 특수공작 등 특수작전을 수행한 美 UDT와 동일한 부대창설을 위해 1952년 2월 

해군정보국 ONI“북한에 대한 요인암살 및 첩보수집"을 목적으로 창설하였다.

비밀해제 된 문서로 확인된 대한민국 UDT 창설 목적 ‘북한에 대한 요인암살 및 첩보수집’ (sabotage and espionage)

 

대한민국 UDT는 한국전쟁 중 美 UDT 유학자 및 UDT교육 이수자(Y부대 해상대)를 중심으로 UDT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부산 태종대에 위치한 CIA 산하 Y부대 해상대(SMG/UDT요원)유격작전도.

1955년~1970년까지(UDT 1기~UDT 16기) UDT 요원 약 350여 명 중 100여 명을 해상정찰대 무장공작원으로 파견 및 전속시켰다.

1955년 UDT 1기생 교육 모습. 사진출처: UDT 1기 고. 한학준/유튜브 ‘사나이 김소장’

 

1960년대 UDT요원. 당시에 UDT요원들은 계급장과 명찰이 없었다. 사진출처: UDT 11기 이강현

 

1960년 UDT 6기생 전원이 해상정찰대 ***파견대로 전속되면서 해상정찰대 內 기정사, 선박대 함정요원, 지원요원 등과 

UDT요원을 구분하기 위해 UDU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으며, 1971년 5월 UDT요원을 교관요원으로 전속시켜 

인천에 UDU 교육대가 창설되기 전까지 UDT요원이 해상정찰대로 전속 및 파견되어 대북특수임무를 수행하였다.

 

1971년 10월 UDU 교육대에서 첫 수료생이 배출되었는데, UDT B-6과정을 똑같이 이수하였다는 이유로

UDU 1기가 아닌 UDT 기수를 그대로 이어 받아 UDU 17기로 명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군의 마지막 대북특수임무는 1971년 여름 UDT요원들이 수행한 후 종료되었기에 해군에서 실제 북파공작임무는 

진해 UDT교육대에서 배출된 UDT요원이 수행한 것이다.

1960년 UDT 6기 수료 사진. 출처: UDT특차 신복현/유튜브 ‘사나이 김소장’

[1971년 UDU 교육대 창설 교관 명단] 

UDT 특차 신복현, UDT 5기 임연복, UDT 7기 최성천. 

이후 UDT 10기 정준영, UDT 12기 김일환 교관요원으로 추가 전속.

1970년까지 UDU교육대가 존재하지 않았고, UDT요원이 특수임무를 수행하였다는 국방부 자료. 출처:UDT 역사기록관

 

사진 출처 : UDT 11기 이강현/유튜브 ‘사나이 김소장’

 

[해상정찰대 ***파견대에서 대북작전 중 전사자]

UDT 6기 중사 민형식 1962년 12월 13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6기 상사 이만석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6기 중사 강명복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10기 중사 김기남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10기 중사 정종화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11기 중사 이  성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13기 중사 최중석 1968년  6월 22일 대북작전 중 전사.

 

[UDT 훈련 및 작전, 근무 중 순직자]

UDT 10기 하사 심상조 1964년 UDT 10기 B-6교육 수중침투 훈련 중 순직.

UDT 15기 하사 김상익 1969년 UDT 15기 B-6교육 수영침투 훈련 중 순직.

UDT 15기 일병 김인권 1969년 UDT 15기 B-6교육 수영침투 훈련 중 순직.

UDT  5기 중사 한현수 1970년 보안대 근무 중 순직.

UDT 13기 중사 이승용 1970년 수중침투 훈련 중 순직.

UDT  7기 중사  최충윤 1970년 수중침투 훈련 중 순직.

UDT 19기 상병 박인동 1973년 UDT 19기 B-6교육훈련 중 순직.

UDT 21기 일병 이경희 1975년 UDT 21기 B-6교육훈련 중 순직.

UDT  5기 대위 임연복 1975년 첩보부대 근무 중 순직.

UDT 10기 준위 정준영 1975년 첩보부대 근무 중 순직.

UDT 21기 하사 오상율 1979년 부대 근무 중 순직.

UDT 30기 하사 심명섭 1985년 무술훈련 중 순직.

UDT 32기 중위 박동수 1986년 UDT 32기 특수전 기초과정 훈련 중 순직(11여단)

UDT 33기 중사 이형수 1988년 팀스피리트 훈련 중 순직.

UDT 32기 하사 최   혁 1988년 독수리 훈련 중 순직.

UDT 35기 하사 이상우 1989년 UDT 35기 특수전 기초과정 잠수함 이탈/복귀 훈련 중 순직.

UDT 34기 하사 신붕철 1990년 팀스피리트 훈련 중 순직.

UDT 34기 하사 오명훈 1990년 부대 근무 중 순직.

UDT 36기 일병 황진호 1990년 UDT 36기 특수전 기초과정 지옥주 훈련 중 순직.

UDT 37기 중사 이삼봉 1994년 수중침투 훈련 중 순직.

UDT 42기 일병 김성열 1996년 UDT 42기 특수전 초등과정 표면잠수 훈련 중 순직.

UDT 30기 소령 이흥우 1996년 근무 중 순직.

UDT 35기 상사 문인제 1997년 특수전 시범 훈련 중 순직.

UDT 27기 원사 김용철 1999년 부대 근무 중 순직.

UDT 47기 하사 남준기 2004년 근무 중 순직.

UDT 50기 중사 강동구 2005년 수중침투 훈련 중 순직.

UDT 41기 상사 이승륜 2007년 수중작전 중 순직.

UDT 22기 준위 한주호 2010년 천안함 구조작전 중 순직.

UDT 39기 원사 김동열 2022년 근무 중 순직.

Freedom is not free..

 

제1회 NSA ‘UDT 특수공작 전사자 및 순직자 추모 62.2km 산악종주’는 한때 시간당 50mm가 넘는

폭우 속에 토사가 쓸려내려가 길이 소실되어 버린 야간산행 중에도 단 한 명의 부상자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

이번 종주는 조국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친 UDT 특수공작 전자사와 순직자를 기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종주 일정은 오전 UDT 충혼탑에서 추모식 및 출정식을 통해 UDT의 투혼과 전우애를 가슴에 새기며

UDT 전사자 및 순직자의 희생을 기리는 엄숙한 의식으로 시작됐다.

진해의 어느 무인도. UDT 충혼탑에서 추모식 및 출정식 거행  사진: NSA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UDT 충혼탑  사진: NSA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종주 코스는 진해 장복산 휴게소에서 출발하여 → 장복산→덕주봉→안민고개→웅산→불모산→

용제봉→대암산→비음산→내정병산→정병산을 왕복하는 코스로 시작됐다.

당일 야간에 시간당 50mm에 달하는 폭우로 30cm 전ㆍ후의 시야와 토사 유실로 길이 모두 없어져 산악기동이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UDT 출신답게 참가자 전원이 아무런 부상없이 모든 상황을 극복하였고,

길이 모두 유실되어 창원사격장부터 장복산까지 도로 기동으로 전환하여 62.2km 종주 행사를 성공적으로 끝까지 마무리 하였다.

 

NSA 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종주는 단순한 체력 도전이 아니라, 나라를 위해 헌신한 UDT요원들을 

추모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의미 있는 행사였다"며 "악천후속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바로 UDT 정신 그 자체였다"고 말했다.

장복산 정상 출처: NSA 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62.2km 종주 중. 출처: NSA 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행사 종료 후 UDT 22기 한주호 준위 동상앞. 출처:NSA 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NSA 해마국가안보전략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대회를 계기로 매년 추모 종주행사를 정례화하여 UDT 전사자 및 순직자의

숭고한 희생을 널리 알리고, 국민들의 국가안보 의식을 고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아래는 62.2km 산악종주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유튜브 영상이다. 

출처: 유튜브 ‘사나이 김소장’

카카오톡 뉴스 제보 바로가기 ↓

http://pf.kakao.com/_DEXxen

 

작성 2025.08.14 17:14 수정 2025.08.25 16:43

RSS피드 기사제공처 : TJ뉴스 / 등록기자: 김광석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