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무주택 청년 4천 명에 중개보수·이사비…전세사기 피해 등 우선 지원

8월 12일부터 ‘청년몽땅정보통’ 신청…서울 거주 19~39세 무주택 청년 대상

전세사기 피해·가족돌봄·청소년 부모 등 주거취약 청년 우선 선정

상반기 6천 명 평균 33만7천 원 지원…대부분 1인 가구·20대 비중 높아

서울시가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이사 빈도가 높은 청년층을 지원하기 위해 올 하반기에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사업을 이어간다고 밝혔으며 이번 모집 인원은 4천 명으로, 상반기 6천 명과 합산해 올해 총 1만여 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고 전했다. 사진=서울시 보도자료 제공 

 

 

서울시가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이사 빈도가 높은 청년층을 지원하기 위해 올 하반기에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사업을 이어간다. 이번 모집 인원은 4천 명으로, 상반기 6천 명과 합산해 올해 총 1만여 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서울시는 오는 12일 오전 10시부터 하반기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신청을 접수한다. 신청은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를 통해 8월 25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지원 대상은 서울 거주 19~39세 무주택 청년으로,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한 경우 신청 가능하다. 세대주이면서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이 본인이어야 하며, 주민등록상 동거인이 있어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주택 보유자, 부모 소유 주택 임차인, 타 기관에서 동일 지원을 받은 경우,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일부는 제외된다.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며, 가구의 2024년 7월 건강보험료 고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1인 가구 세전 358만 9천 원)일 경우 신청이 가능하다. 거래금액은 월세액에 100을 곱해 보증금을 더하는 방식으로 산정된다.

 

 

선정 인원을 초과할 경우 전세사기 피해 청년, 가족돌봄 청년, 청소년 부모 등 주거취약 계층을 우선 지원하고, 이후 소득이 낮은 순으로 선정한다. 시는 올해 상반기에도 전세사기 피해 청년 22명을 포함해 458명의 사회적 약자를 우선 지원했다.

 

 

최종 지원 대상자는 10월 서류심사와 자격 검증을 거쳐 선정되며, 이의신청 및 보완 절차 후 12월 지급 예정이다. 세부 조건과 제출 서류는 ‘청년몽땅정보통’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반기에는 총 5,735명이 최종 선정돼 1인 평균 33만 7,860원을 지원받았다. 이는 최근 3년 평균 지원액 대비 약 7.2% 증가한 수준이다. 수혜자 중 90.5%가 1인 가구였으며, 68.5%가 20대였다. 또 69%가 원룸, 76.1%가 30㎡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악구 거주 청년이 16%로 가장 많았고, 중구 거주자는 1.4%로 가장 적었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은 “전세사기 피해, 양육, 가족돌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위해 우선 지원 대상을 넓히고 있다”며 “청년 정책에서 소외되는 이들이 없도록 사각지대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작성 2025.08.11 09:51 수정 2025.08.11 09:5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이슈저널 / 등록기자: 강태웅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