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국경세의 현실화와 한국 산업계의 대응

알아두면 득이 되는 기후 정보

기후 위기 대응의 최전선 한국

픽사 월드-이미지

기후 위기 대응의 최전선, '탄소국경세'의 현실화와 한국 산업계의 대응

 

전 지구적인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유럽연합(EU)이 도입한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가 올해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한국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 수출 주력 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탄소국경세는 탄소 배출이 많은 제품을 EU로 수출할 때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로, EU뿐만 아니라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도입을 검토하면서 '글로벌 무역 장벽'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 '탄소 관세'를 피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

 

한국은 제조업 기반의 수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탄소국경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CBAM이 전면 시행될 경우, 한국 기업들은 EU 수출 시 제품의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세금을 내야 한다. 이는 곧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져 수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한국 산업계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철강 업계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시멘트 업계는 저탄소 시멘트 개발과 제조 공정 혁신에 집중한다. 정부 역시 '탄소 중립 녹색 성장 기본 계획'을 통해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기업들의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탄소 배출권 거래제와의 연계, 복잡한 해법 모색

 

한국은 이미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를 시행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탄소 배출량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다. 하지만 CBAM과의 연계성이 명확하지 않아 이중 부담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EU와의 협상을 통해 한국의 배출권 거래제 인정 범위를 넓히는 동시에, 국내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탄소국경세는 단순한 환경 규제를 넘어,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이 되었다. 한국 기업들이 이를 기회 삼아 친환경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작성 2025.08.06 11:23 수정 2025.08.06 11:2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메디컬라이프 / 등록기자: 김유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