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학자금 상환 부담, 신용유의자 등록, 저신용으로 인한 금융 배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위해 맞춤형 부채 경감 지원을 이어간다. 학자금이자 지원, 신용회복, 긴급자금 대출 등 실질적 도움이 되는 3대 사업이 주요 내용이다.
서울시는 청년층의 부채 문제를 해소하고자 8월 1일부터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신용회복 지원’, ‘긴급생활안정자금 대출’ 등 3대 청년 맞춤형 지원정책을 확대·시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사업’은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원) 재학생·휴학생·졸업생(5년 이내)을 대상으로 2025년 상반기(1~6월) 발생한 학자금대출 이자를 원리금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이번 하반기 지원 규모는 약 2만4천 명이며, 신청은 8월 1일부터 9월 11일까지 ‘청년몽땅 정보통’ 포털에서 접수한다.
지원 대상자는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 보유자 중 서울 거주자로, 소득 1~7분위 또는 다자녀 가구는 발생 이자 전액을, 소득 8분위는 예산 범위 내에서 일부를 지원받는다. 모든 신청자는 관련 증빙서류를 공고일 이후 발급분으로 제출해야 하며, 최종 지원 여부는 12월 중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학자금대출을 6개월 이상 연체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청년을 위한 ‘신용회복 지원사업’도 강화된다. 서울 거주 청년이 한국장학재단과 분할상환 약정을 체결할 경우, 서울시가 초입금(채무의 5%)을 대신 납부해 신용유의자 등록 해제를 돕는다. 특히 올해부터는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경우 신청 가능 연령을 39세에서 42세로 상향해 더 많은 대상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저신용 청년층의 재정적 긴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생활안정자금 대출’도 상시 운영 중이다. 이 제도는 개인회생, 채무조정 등으로 고금리 대출조차 어려운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최대 약 500만 원 한도의 생활·의료비 등을 지원한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약 1,900명이 43억 원 규모의 대출을 받았고, 80% 이상이 생활비 목적이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서울시 김철희 미래청년기획관은 “이자지원과 신용회복, 긴급자금 대출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청년의 미래 기반을 마련하는 실질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으로 부담을 줄이고 자립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가를 위해 복무한 제대군인이 사회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