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능 온디바이스 망연동 시험플랫폼 개발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72억 원을 확보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기기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할 전국 최초의 실증 플랫폼을 구미에 구축한다.
이번 사업은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이 주관하고, ㈜이노와이어리스,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포인드㈜, 한국전파진흥협회가 함께하는 컨소시엄이 수행한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총 82억 원(국비 72억, 지방비 5억, 기타 5억)을 투입해 지능형 온디바이스 제품의 성능·안전성 검증을 위한 시험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할 계획이다.
지능형 온디바이스는 5G 및 5G-A(Advanced) 기반 통신기술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융합한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기기 등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첨단 기기를 말한다.
최근 산업계에 인공지능 전환(AX)이 확산됨에 따라 관련 기술 검증 및 실증 인프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과 달리 자체 시험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제품 상용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경북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실제 통신환경에서 AI 디바이스를 테스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실증 플랫폼에는 △국제 표준 기반 시험검증 규격 개발 △5G-A 시험망 및 차폐룸 등 실증 공간 구축 △지능형 서비스 품질 및 통신 성능 평가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과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이미 ‘5G 시험망 기반 테스트베드 구축사업’(2019~2023)을 통해 핵심 통신 인프라를 갖춘 바 있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5G-A 기반 실증 역량을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AI 디바이스와 반도체 산업의 전환 시점에서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실증 인프라 구축은 필수”라며, “경북이 AI전환(AX)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반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