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정치는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일이다. 때로는 갈등을 조정하고, 때로는 아픔을 껴안으며, 국민과 함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는 것 그것이 정치의 본질이며, 정치인의 사명이다. 정치의 길을 걷고 있는 사람으로서, 오늘의 정치 현실 앞에서 침묵이 과연 옳은지 스스로에게 되물었고, 깊은 고민 끝에 더불어민주당 입당이라는 결단을 내리게 되었다.
2022년 지방선거 당시, 나는 재선 시의원으로 국민의힘 시장 후보로 출마했었다, 그 후 당을 떠나 무소속으로 활동하며. 묵묵히 시민의 곁에서 내 길을 걸어왔지만, 그 여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오히려 시민 개개인의 삶 속 깊숙이 들어가면서, 정치의 본질이 무엇인지, 진심 어린 성찰의 시간을 갖게 되었다.
무소속 활동을 통해 절감한 것은, ‘혼자의 정치’로는 지역의 변화도, 시민의 삶도 바꿀 수 없다는 냉엄한 현실이었다.
내가 몸담았던 정당은 국민의 뜻을 받드는 데 실패했다. 내부 권력 다툼과 분열에 몰두한 채 민생과 통합의 정치를 외면했고, 끝내는 ‘계엄 정국’이라는 반헌정적 상황까지 자초했다. 이 모든 현실을 마주하며, 나는 더 이상 침묵하거나 중립에 머무는 것이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라는 판단에 이르렀다. 그리고 새로운 길을 택했다.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나라”, 이 단순한 헌법의 문장은 정치의 출발점이자, 정치인이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가치다.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눴던 세력이 진정한 사과도, 책임 있는 자세도 없이 당권 다툼에만 몰두하고, 끝없이 분열과 배신을 반복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많은 국민들이 환멸을 느꼈을 것이다. 자신이 선택한 정치인에게 상처받고, 여전히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한 국민의 탄식이 들리지 않는가 보다.
선거기간 내내 더불어민주당은 ‘보수 통합’을 이야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통합은커녕, 두 번의 탄핵으로도 부족했는지 진보 통합과 나라 살리는 정책공약은 뒷전으로 네거티브만 반복했다. 선거가 끝난 지금까지도 민생 보다는, 당권 다툼에만 몰두하는 모습을 보며, 과연 이들이 진정 국민을 향한 정치하고 있는 것인지 묻게 된다.
정치인의 판단 기준은 ‘진영’이 아니라, ‘국민’이어야 한다. 내가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이유 역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진 선택이 아닌, 외면할 수 없는 시대정신에 대한 응답이었다.
정치인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뜻을 지키기 위해 싸워야 한다. 나는 배신이 아닌 책임 정치의 길을 실현하기 위해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이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것은 단순한 정권 교체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국민은 무능과 분열, 거짓의 정치를 거부하고, 책임과 통합, 상식의 정치를 선택한 것이다. 이제 정당과 정치인은 그 무게를 온전히 짊어지고, 국민의 바람에 응답해야 한다.
민주당 정부의 시작은 곧 책임 정치의 출발점이다. 국민은 언제든지 정치에 다시 실망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 ‘민심의 경고’를 품고 있다. 현 정권은 진심으로 국민과 마주하고, 결과와 성과로 응답해야 한다.
내년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정치인들 역시 지역의 분열을 넘어 상식과 정의, 보수통합의 올바른 정치를 실현해 나가야만 할 것이다.
정계숙
· 인재개발교육진흥원 원장
· 서정대학교 겸임교수
· 한국유권자중앙회 조직위원장
· 한국공공정책협회 동두천시 지부장
· 전) 동두천시의회 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