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탄소 시장은 기업, 조직, 개인이 법적 의무 없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수행하고 탄소 배출 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이는 규제 적 탄소 시장(예:배출 권 거래 제)과는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 (ESG 경영)과 환경 보호 노력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려는 목적으로 성장해왔다.

자발적 탄소 시장의 장점
다양성과 유연성: 규제 시장에서 다루기 어려운 다양한 유형의 감축 프로젝트(산림 보호, 재생 에너지 등)가 거래될 수 있다.
혁신 촉진: 새로운 탄소 감축 기술이나 프로젝트 개발에 대한 투자를 유치하고 실험적인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기업의 ESG 경영 강화: 기업이 자발적으로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데 기여하며, 대외적으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우며 특히, Scope 3 배출량(공급 망 등 간접 배출량)감축에 활용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 지원: 탄소 감축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시장 확대 가능성: 규제 적 탄소 시장을 보완하며, 향후 탄소 감축 수 확대에 대응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으로 고려될 수 있다.

자발적 탄소 시장의 단점 및 한계
신뢰성 및 투명성 부족:
그린워싱 우려: 일부 기업이 실제로 탄소 감축 노력을 하지 않으면서 탄소 배출권 구매를 통해 ‘그린 이미지’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품질 문제: 배출 권이 실제로 탄소 감축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는지, 추가 성, 연구 성, 이중 계산 방지 등의 기준이 제대로
지켜지는 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2023년에는 일부 자발적 탄소 시장 크레딧의 신뢰성에 대한 강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검증 시스템 미흡: 아직 일관된 규제나 검증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지 않아 배출권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시장 분열 및 복잡성: 통일된 표준이나 규제가 부족하여 시장이 파편화 되어 있고, 구매자 입장에서 프로젝트의 품질을 평가하기 어렵다.
가격 변동성: 규제 시장 대비 공급량이 많고 시장 규모가 작아 가격 변동성이 크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향후 전망
자발적 탄소 시장은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이 기대된다. 다만 , 시장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탄소 배출 권의 품질 기준을 강화하고, 검증 시스템을 표준화 하며, 투명한 정보 공개를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자발적 탄소 시장은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한 기업과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혁신적인 감축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동시에 배출 권의 신뢰성과 시장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송영배기자
010-2293-6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