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한테 많이 물리는 사람이 따로 있다



어떤 이들은 옆 사람은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데 반해 자신들은 모기에게 잘 물리는 저주에 걸려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착각일까요?

아니라면, 어떻게 된 일이고, 또 그에 대해 뭘 할 수 있을까요?

모든 것은 모기가 어떻게, 왜 우리를 찾아내는가로 귀결됩니다. 수컷 모기는 꿀에서 양분을 얻는 반면에 암컷 모기는 알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피를 찾습니다.

 

동물군에 따라 피를 빠는 다른 모기 종들이 진화했습니다. 그리고 아마 최근 만 년 이내에 사람을 선호하는 여러 모기종들이 개별적으로 진화했습니다. 인간의 정착지들이 더 영속화되면서 심지어는 심한 건기에도 많은 물웅덩이가 있었고, 모기는 그곳에서 1년 내내 번식할 수 있었습니다.

 

암컷 모기는 머리카락 모양의 털로 덮인 더듬이가 있는데 거기에 냄새를 감지하는 수용체와 신경 세포가 있습니다. 더듬이는 모기가 선호하는 숙주의 신호를 포착합니다. 그렇게 수천 년이 흐르고 인간을 목표로 삼은 모기들은 우리를 추적하는 데에 무척 능숙해졌습니다.

 

모기들은 또한 우리가 알아채기 어려운 신체 부분을 표적으로 삼습니다. 그리고 모기들은 시각 신호와 공기 흐름의 변화에 예민해서 우리가 잡으려 할 때 빠르게 도망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기를 쓰고 잡으려는 이들을 피하는 법을 학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가까이 다가오기 전에, 몇 가지 요소들 때문에 모기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압니다.

 

암컷 모기는 사람이 계속 내뿜는 이산화 탄소를 약 10미터 떨어진 곳에서 잡아낼 수 있습니다. 일단 모기들이 CO2 신호를 포착하면 모기들은 어두운 물체, 주변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물체, 그리고 피부의 색조에 특히 관심을 갖게 됩니다.

 

뿜어져 나오는 이산화 탄소를 따라 그 근원으로 가다가 모기들은 결국 체온과 냄새를 감지합니다. 이런 냄새는 우리의 피부에 있는 많은 미생물 때문에 생깁니다. 그 미생물은 우리 몸이 만들어내는 땀과 피지 같은 분비물을 분해합니다.

그렇게 하면서, 피부의 미생물은 더 작은 유기 화합물을 만드는데 이것이 증발하여 냄새가 됩니다. 이는 인간을 쫓아다니는 모기들이 특히 좋아하는 냄새입니다.

 

땀을 많이 흘리면 일시적으로 모기를 더 끌어들일 수 있는데 술을 마실 때나 임신 중일 때도 그럴 수 있습니다. ,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은 피부에 있는 과일 냄새가 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양을 늘려 감염된 사람이 모기를 더 끌어들이게 만듭니다. 이것은 그 기생충에게 매우 좋은 일이 되는데 그것이 번식하려면 인간과 모기 둘 다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일시적 요소들에 더해, 사람들 중 약 20%는 선천적으로 모기를 강하게 끌어들이는 사람, , 모기 자석이라고 생각되는데 해마다 그들은 표가 나게 모기의 목표가 됩니다.

 

여러분이 그런 사람이라면 아마 잘 알 것입니다. 그것참 안된 일이군요.

왜 이것이 몇몇 피부 특성들과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일까요?

이산화 탄소의 방출과 체온은 모기에게 온혈 동물이 있다는 신호를 주는 반면에 인간의 체취는 더 구체적입니다. 피부의 미생물은 사람마다 다른데 그래서 사람마다 다른 독특한 체취를 유발합니다.

 

모기가 산성 화합물을 탐지하는 데 이용하는 감각 기관들이 인간을 잘 찾아가게 한다고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피부에 산성 물질이 많은 사람이 시종일관 모기를 더 끌어당긴다고 판명됐습니다. 이것이 지속되는 특성인 것을 보면 특정 유전자의 영향일지도 모릅니다.

 

피부의 미생물 구성을 결정하는 데 일조하는 것이죠. 과학자들이 관찰한 바로는 모기는 일란성 쌍둥이들에게는 유사하게 이끌리고, 반면에 이란성 쌍둥이들에게는 일정치 않게 반응합니다. 그것은 어떤 유전적 원인이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을 뒷받침합니다. 하지만 사실, 모기들이 일부 사람들을 더 잘 문다는 걸 입증하는 것보다는 사람들을 모기 자석으로 만드는 게 뭔지 아는 게 더 중요합니다.

 

매년, 수십만 명이 모기가 옮기는 질병으로 죽습니다. 또 가장 필요한 이들에게 물자가 도달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지식에서 해법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더 효과적인 방충제로 피부의 미생물 군집과 냄새를 조작하는 것이죠. 그리고 일부 사람들이 특히 모기를 특히 더 잘 끌어들인다는 것을 알면 방충제, 모기장, 백신, 진단 시약, 치료법 같은 자원들을 그들에게 보내는 것이 더 쉬워질 수 있습니다.

 

그 효과는 덜 가려울 뿐만 아니라 전염의 고리를 끊고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번역자: Tae woong Park

영상: TED-Ed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V6rRifwIaio



작성 2025.05.30 08:08 수정 2025.05.30 08:08

RSS피드 기사제공처 : 개미신문 / 등록기자: 김태봉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