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교가 반유대주의 사태 대응을 놓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충돌하며, 연방정부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기금이 동결되는 사태에 직면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 갈등이 아닌, ‘자유’와 ‘안전’ 사이에서 미국 사회가 직면한 윤리적 딜레마를 극명히 드러내고 있다.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은 "사립대학의 자율성은 정권에 따라 흔들려선 안 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를 거부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오직 반유대주의와의 싸움이 목적”이라며 강경 대응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캠퍼스 내 반이스라엘 시위, 유대인 학생 대상 폭력과 위협, 그리고 하마스를 옹호하는 일부 교수·학생들의 발언은 ‘표현의 자유’의 외피를 입고 자행되는 새로운 형태의 폭력으로 읽힌다.
하버드는 자유의 수호자를 자처하지만, 그 자유는 과연 누구의 것인가? 유대인 학생들이 위협받고, 학내 포스터가 찢기고, 유혈의 기억이 조롱받을 때, 대학은 왜 침묵했는가. 인권의 보루를 자처하는 학문 공동체가 오히려 시민권을 침해하는 온상이 되어버린 이 아이러니 앞에, 법과 정의는 어떻게 서야 하는가.
민권법 제6조는 인종·출신 국가 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며, 이를 위반한 기관에는 연방 기금 중단이 가능하다. 하버드가 그 적용 대상임은 자명하다. 만약 같은 상황이 LGBTQ 집단이나 흑인 학생들에게 발생했다면, 과연 이렇게도 오랜 논쟁이 필요했을까?
자유는 그 자체로 정의가 아니다. 자유가 방종으로 흐르고, 약자의 존엄이 짓밟힐 때, 국가는 침묵해서는 안 된다. 하버드가 지키려는 ‘학문 자유’가 진정 자유를 위한 것이라면, 먼저 학내 약자를 위한 정의의 기준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 유대인 학생들의 고통을 외면한 자유는, 곧 ‘불의한 중립’일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