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대기환경관리 계획’ 도민과 함께 만든다

도, ‘제2차 충청남도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도민 공청회 개최

[충남=시민뉴스] 김진호 기자

충남도가 2차 충남도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2025-2029)’ 수립에 앞서 최종 계획안의 실행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도민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도는 1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도중원 대기환경과장과 한국환경연구원, 충남연구원, 시민단체, 산업계,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계획은 지난해 환경부가 고시한 제2차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 근거한 것으로, 다음달까지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목표는 2029년까지 2021년 기준 배출한 대기오염물질 35만톤의 약 10%34866톤 감축이다.

 

김종범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시행계획 수립() 발표를 통해 2029년 기준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연평균 환경기준인 15/로 달성하기 위한 5개 부문 51개 세부사업을 제시했다.

 

주요 사업은 석탄화력발전소 액화천연가스(LNG) 전환에 따른 영향 분석 첨단장비를 활용한 다배출시설 공정진단 석유저장시설 관리기준 강화이다.

 

이와 함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집중관리구역 선정 및 강화된 관리대책 추진 악취관리센터(가칭) 설립 오존(O3) 관리를 위한 광화학측정망 설치·운영 등도 추진한다.

 

2차 시행계획 마련에 앞서 도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발전·산업·수송·생활·정책 등 5개 분야, 60개 과제를 중심으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이를 통해 2020년 약 40만톤에 달하던 오염물질 배출량을 2023년 기준 32만톤 수준으로 약 20%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5년은 단순한 수치 감축을 넘어, 도민이 실제로 공기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구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도중원 도 대기환경과장은 수립 중인 제2차 시행계획은 향후 5년간 대기질 관리를 위한 계획으로 상위 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해 지역 현안 해결을 목표로 수립 중이라며 공청회에서 제시된 여러 의견을 반영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공기질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말했다.

작성 2025.05.19 15:40 수정 2025.05.19 15:40

RSS피드 기사제공처 : 시민뉴스 / 등록기자: 김진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