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국내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521명으로 집계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1991년(1만3,429명) 대비 80% 이상 감소한 수치로,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도 5.3명으로 OECD 평균(5.4명)을 처음으로 밑돌았다.
국토교통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교통안전 정책의 성과가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안전속도 5030’(2016년),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화’(2018년), ‘우회전 일시정지 의무화’(2023년) 등 지난 10년간의 교통안전 제도 개선이 효과를 보았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고령 보행자 사망자 수는 되레 증가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보행 중 사망자는 616명으로, 전년 대비 12% 늘었다. 특히 사고의 77%는 횡단보도가 아닌 일반 도로를 무단 횡단하다 발생한 것으로 조사돼 고령층을 위한 보행 환경 개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토부는 이에 따라 고령자 보행 신호 시간 연장, 횡단보도 내 안전시설 강화 등 고령자 맞춤형 교통안전 대책을 확대할 방침이다.
교통법 강화 역시 성과를 보였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138명으로 13.2% 감소했으며, 개인형 이동장치(PM) 및 이륜차 관련 사망자도 각각 11.5%, 10% 이상 줄었다. 국토부는 PM 법제화를 통해 대여업 등록제, 주차관리 강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음주운전 방지장치 통합관리 시스템도 마련할 계획이다.
사업용 차량에 대한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국토부는 화물차, 버스, 택시 운전자의 자격유지검사를 강화하고, AI 기반 안전알림 시스템을 통해 졸음운전 및 중앙선 침범을 실시간 감지하는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령 운전자의 사고를 줄이기 위해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를 시범 적용하고, 전세버스 합동점검을 확대해 행락철 사고 예방에 나선다.
도로 인프라 측면에서도 개선이 진행 중이다. 국토부는 포트홀 자동 탐지 시스템 확대와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상 관측망을 구축해 사고 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AI 기반 사고예방 시스템을 통해 위험 구간 실시간 경고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졸음쉼터와 화물차 전용 휴게공간도 확충된다.
국민 참여형 교통안전 캠페인도 병행된다. ‘오늘도 무사고’ 캠페인을 중심으로 안전띠 착용 단속을 강화하고, 화물차 최고속도 제한 스티커를 배포한다. 아울러 고령자 교통안전 교육, 어린이 통학로 안전시설 확충 등을 통해 교통약자 보호에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는 긍정적이지만 고령화에 따른 새로운 위험 요인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선진국 수준의 교통안전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010-3280-64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