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 매교동 ‘모카미술교습소’ 김락경 원장 - ‘작고 아늑한 아트 스튜디오, 아이들의 무한 상상상력으로 채우다’

드로잉·창의융합으로 감성·사고력 키우는 김락경 원장, 자유로운 표현에 방점을 찍다.

경기 수원시 매교동에 ‘모카미술교습소(MOCA·Moments Of Creative Art)’ — ‘창의적인 예술의 순간들’을 뜻하는 미술 공간이다. 이 작은 공간에는 수년간 아이들의 소중한 꿈을 응원해 온 원장이 있다. 김락경 원장, 그는 왜 ‘모카’라는 이름 아래 아이들을 위한 예술 공간을 열었을까?

 

▲ 모카미술교습소 김락경 원장  © 모카미술교습소

 

“이전에 수원 광교에서 교습소를 운영하며 수 많은 아이들을 만나왔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들이 창작 활동에 집중하기 더 편안한 미술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느꼈어요.”

 

▲ 모카미술교습소 내부 전경  © 모카미술교습소

 

김락경 원장은 그간의 경험을 돌아보며, 소위 ‘획일적 실기 교육’에 지친 아이들이 그림 앞에서 망설이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 “모카를 기획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린 건 ‘창의적인 예술의 순간’이었어요. 기계적 반복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마주하고, 오롯이 표현에만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모카미술의 명칭 ‘MOCA’는 ‘Moments Of Creative Art’를 줄인 말로, 아이들의 ‘창의적인 예술의 순간들’을 함께 하겠다는 다짐을 담았다. 그리고 더 많은 아이들과 즐거운 미술 수업을 하기위하여 수원 매교동에 새로운 공간을 열게 되었다.

 

▲ 모카미술교습소 내부 전경  © 모카미술교습소

 

모카미술교습소는 전체 면적이 아주 크진 않다. 하지만 그러한 ‘작음’이 오히려 공간의 온기를 더한다. 입구를 지나면 한눈에 들어오는 작업 테이블과 탁트인 뷰, 벽면을 채운 작품들이 방문객을 반긴다. 원장은 “여기서 아이들은 마치 자기 방에 들어온 듯 마음을 열고 그림을 그립니다. 집럼 친근한 환경이야말로 창의의 토양이 됩니다”라고 설명한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모카미술교습소는 6세부터 초등, 중고등 학생, 성인취미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령대에 맞는 미술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또한 매월 시즌별 공통주제와 개별 성향에 맞게 개인진도로 수업이 진행된다.

 

집중을 위한 작업 테이블 : 교실 한가운데 놓인 테이블은 아이들이 모여 앉아 드로잉을 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빛과 채색 : 커튼을 걷으면 자연광이 은은히 스며들고, 시간대에 따라 공간의 온도감이 바뀌어 다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작품 갤러리 : 아이들이 완성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벽면 갤러리는, 작은 성취감이 큰 동기부여가 되도록 돕는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이처럼 모카미술은 아이들이 수업하는 환경도 중요시하며 교육 재료부터 가구,소품,구조 배치 등 세심하게 디자인된 공간이다.

 

모카미술의 프로그램은 크게 ‘드로잉’과 ‘창의융합 미술’로 나뉜다. 두 수업 모두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중심에 둔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연필 한 자루로 세상을 관찰하고, 사물의 형태를 인식하는 훈련부터 시작합니다. 기초 소묘를 통해 관찰력과 손의 협응력을 기른 후, 점차 아이디어 스케치를 시도해 보죠.”

 

드로잉은 미술의 뼈대와도 같다. 모카미술에서는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나만의 시선’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봄꽃을 그리는 수업에서는 꽃의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 대신, 아이들의 ‘봄에 느끼는 감정’을 먼저 묻는다. “따뜻한 햇살에 마음이 설렌다”는 표현이 나오면, 그 이미지를 자유롭게 포착하도록 지도한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제한된 재료가 아닌,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상상을 확장 시킵니다. 수채화·아크릴·콜라주·디자인 등 여러 영역을 융합해, 주제별 프로젝트를 수행하죠.”

매 시즌 ‘봄의 소리’, ‘여름의 소리’, ‘가을의 여운’, ‘겨울의 꿈’ 등 공통 주제를 정하고, 아이들 개개인의 관심사와 결합한 맞춤 과제를 부여한다.

 

▲ 학생들의 작품  © 모카미술교습소

 

아크릴 프로젝트 : 바다의 움직임을 캔버스에 담기 위한 색채 프로젝트

콜라주 워크숍 : 잡지·천 조각 등을 활용해 ‘나만의 이야기 보드’를 제작

디자인 챌린지 : 드로잉 기법을 적용해 다양한 디자인 시도

 

“단순히 예쁜 작품을 만드는 것이 목표가 아닙니다. 스스로 고민하고 실행하며, 완성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싶습니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많은 미술 학원과 교습소가 기술 위주의 커리큘럼을 강조하는 반면, 모카미술은 ‘감정과 상상력’에 방점을 찍는다. 김락경 원장은 “과도한 테크닉 습득만을 쫒기보다, 아이들이 예술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 모카미술교습소 내부 전경  © 모카미술교습소

 

이처럼 ‘기술’과 ‘창의’의 균형을 맞춘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자연스럽게 키우도록 돕는다. 실제로 한 학부모는 “우리 아이가 집에서도 그림 얘기를 멈추지 않는다. 그림 앞에서 전보다 더 활짝 웃는다”며 만족감을 전했다.

 

▲ 학생들의 작품  © 모카미술교습소

 

모카미술을 운영하며 김 원장이 가장 잊을 수 없는 순간은, 아이들이 건넨 작은 고백들이다.

 

“어느 날 한 아이가 ‘선생님처럼 되고 싶어요’라고 말했을 때, 너무 놀랍고 뭉클 했어요. 단순히 미술을 배우러 온 아이가, 예술을 통해 미래의 꿈을 확장했다는 사실이 제게 큰 보상이었습니다.”

 

이 외에도 “집에서 그린 그림을 친구들에게 자랑했어요”, “처음으로 상상하던 대로 표현해봤어요”라는 이야기들이 학부모 커뮤니티를 통해 이어지며, 모카미술만의 따뜻한 입소문을 만들어 가고 있다.

 

▲ 사진  © 모카미술교습소

 

김락경 원장은 “우선 이 공간에서 많은 친구들이 미술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것”을 당장의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시선은 이미 다음 단계로 향해 있다.

 

1. 소규모 워크숍 확장 : 지역의 작은 공간이나 카페 등과 협업해 ‘이동형 미술 체험 교실’을 운영

2. 감성 아트 클래스 도입 : 일상에 힐링이 필요한 어른들을 위한 ‘아트 클래스’ 를 제공, 다양한 예술적 소통을 경험

3. 작품 공유회 : 학부모와 이웃을 초대해 ‘미니 전시회’를 열어 아이 의 성취를 함께 축하한다.

 

▲ 김락경 원장  © 모카미술교습소

 

“큰 욕심보다, 하나씩 차근차근 실행하며 모카미술만의 아이덴티티를 확장해 나갈 생각입니다. 미술이 아이들에게 주는 자신감과 사고력은, 우리 사회가 더욱 창의적인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밑거름이 될 테니까요.”

 

끝으로 김락경 원장은 학부모들에게 이렇게 당부한다.

 

▲ 모카미술교습소 입구  © 모카미술교습소

 

“미술은 아이들에게 정말 중요합니다. 감정을 언어로 풀어내듯,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은 아이들의 사고력·집중력·자신감을 기르는 전인 교육입니다. 너무 결과물에 연연하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나는 무엇을 그리고 싶은가’를 찾고 표현할 때까지 따뜻하게 지켜봐 주세요. 모카미술은 그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 모카미술교습소 외부 전경  © 모카미술교습소

 

짧지 않은 인터뷰 시간 동안 김 원장의 목소리에는 아이들에 대한 깊은 애정과 교육에 임하는 진정성이 묻어났다. 작고 아담한 교습소이지만, 그 안에 켜켜이 쌓인 아이들의 상상력과 열정은 결코 작지 않다. ‘모카미술교습소’라는 이름처럼, 이곳에서 피어날 ‘창의의 순간’이 오래도록 아이들의 마음을 물들일 것이다.

 

<블로그>

https://m.blog.naver.com/moca_kidsar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oca_kidsart 

작성 2025.05.15 10:32 수정 2025.05.15 10:32

RSS피드 기사제공처 : 생생투데이 / 등록기자: 박성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